반도체 업황 개선,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수출 증가세 지속 예상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 해외경제연구소(keri.koreaexim.go.kr)는 5일 올해 1분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 증가한 1,650억 달러 내외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은은 이날 발표한 '2023년 4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024년 1분기 전망‘에서 수출선행지수* 전년동기 대비 감소폭이 2분기 연속 축소되고 있어 수출 경기 전환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선행지수 : 주요 수출대상국의 경기, 수출용 수입액, 산업별 수주현황, 환율 등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종합해 수출증감 정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든 지수

수은 관계자는 “우리 수출 비중이 큰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고 부진했던 전년 1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분기에 이어 수출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다”면서 “다만, 중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중동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며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글로벌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수출 증가폭은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 분기별 수출액 (억달러) : 1,590(’22.4Q)→ 1,512(’23.1Q)→ 1,558(2Q)→ 1,571(3Q)→ 1,682(4Q)

2023년 4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1,590억 달러) 대비 5.8% 증가, 전분기(1,571억 달러) 대비로는 7.1% 증가한 1,682억 달러 
2022년 4분기 이후 4분기 연속 전년동기 대비 감소를 기록했으나, 반도체·선박·석유화학 등이 개선되면서 5분기만에 분기 기준 증가세로 전환
품목별로는 반도체, 자동차, 일반기계 등 15대 주력품목 가운데 11개 품목이 증가했으며, 지역별로는 미국, 일본, 아세안 등이 증가
2023년 연간 수출액은 전년 대비 7.5% 감소한 6,324억 달러  

전기 대비 유가 및 생산자물가 등이 하락하면서 수출채산성 평가가 상승하고, 수출물량 평가도 상승해 전반적인 수출업황 평가 상승
 수출업황 평가는 기계류, 석유화학, 자동차, 선박, 해운 등은 상승, 전기전자, 플랜트/해건 등은 하락 
수출채산성 평가는 해운, 선박, 철강/비철, 석유화학 등은 상승, 신재생에너지, 기계류 등은 하락
수출물량 평가는 선박, 플랜트/해외건설, 석유화학 등은 상승, 섬유류, 기계류 등은 하락

 ’24년 1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2.3으로 전년동기 대비 1.5p, 전기 대비 1.8p 하락
하락세를 보이다 2분기 연속 전기 대비 상승했던 수출선행지수가 다시 소폭 하락하는 등 등락을 거듭하면서 수출 경기 전환을 위한 바닥을 다지고 있는 상황

수출대상국 경기 : 독일·일본 경기둔화는 이어지고 있으나, 미국·영국 등은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도 회복세가 유지돼 전체 수출대상국 경기지수의 전년동기 대비 상승폭은 확대 
 ※ 수출대상국 경기지수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2(’23.1Q)→3.6(2Q)→4.7(3Q)→5.1(4Q)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는 전분기 대비 소폭(0.8p) 하락한 47.0 기록, 하반기 이후 월별 등락을 거듭하면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 
 ※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분기) : 47.2(‘22.4Q)→44.60(‘23.1Q)→44.63(2Q)→47.8(3Q)→47.0(4Q)

수출용 수입액 지수는 수출 물량 개선 등에 힘입어 전기 대비 8.9% 상승, 전년동기 대비로는 7.5% 하락했으나 하락폭 축소 

가격 경쟁력 : 10월 원/달러 환율이 연고점(1,361원) 수준으로 크게 상승한 영향으로 4분기 평균 환율은 전 분기(1,311원)보다 0.8% 상승한 달러당 1,321원 기록, 가격 경쟁력은 높은 상황
미국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 축소, 국내 증시 위축으로 인한 외국인 자금 이탈 및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원/달러 환율은 변동성이 높은 상태 유지 
 ※ 원/달러환율(분기평균) : 1,359(’23.4Q)→1,276(’23.1Q)→1,315(2Q)→1,311(3Q)→1,321(4Q)
 ※ 원/달러환율(월 평균) : 1,286(‘23.7)→ 1,319(8)→ 1,330(9)→ 1,351(10)→ 1,310(11)→ 1,304(12) 

수출물가 : 유가가 전분기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수출물가도 하락하겠으나, 반도체 단가 상승 전환 등으로 하락폭은 제한될 전망
 ※ 수출물가 (2015=100, 달러기준) : 104.0(’22.4Q)→102.8(‘23.1Q)→99.6(2Q)→100.6(3Q)→100.3(4Q)
  
D램은 주요 업체의 감산 및 수요 증가 영향으로 4분기부터 가격 반등이 시작됐으며, 2024년에는 모바일 D램을 비롯해 주요 기업 투자 물량도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 
 ※ D램 가격 전망($, DDR4_8Gb 평균판매가격, Omdia) : 1.55(’23.2Q)→1.47(3Q)→1.56(4Q)→1.56p(‘24.1Q)

유가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상승 요인과 수요 둔화로 인한 하락 요인이 공존하면서 배럴당 70달러대 수준에서 보합세 유지
 ※ 유가(Dubai, $/bl, 기간평균) : 80.5(’23.7)→86.5(8)→93.3(9)→89.8(10)→83.6(11)→77.3(12)→77.7(‘24.1.19)
  
주요 산업 : 반도체는 지연됐던 기업 투자 수요가 살아나면서 단가 상승이 이어지고, 자동차·선박 중심으로 수출 호조세가 이어짐에 따라 주요 산업 수출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 
반도체는 낸드플래시는 회복세가 더디나 모바일·PC 시장에서 재고 비축이 재개되고 HBM(고대역폭 메모리), DDR5 등 고부가가치 D램 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 증가폭 확대 전망 

수출선행지수 전년동기 대비 감소폭이 2분기 연속 축소되고 있고, 우리 수출 비중이 큰 반도체 업황이 개선됨에 따라 2024년 1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 전망  
수출액은 전분기와 유사한 1,650억 달러 내외 수준이겠으나, 수출액이 크게 하락했던 2023년 1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수출 증가폭은 확대 
  ※ 분기별 수출액 (억달러) : 1,590(’22.4Q)→ 1,512(’23.1Q)→ 1,558(2Q)→ 1,571(3Q)→ 1,682(4Q)
  ※ 분기별 수출액 증감율 (%, 전년동기대비) : △10.0(‘22.4Q)→ △12.8(’23.1Q)→△12.0(2Q)→△9.7(3Q)→5.8(4Q) 

다만, 중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러우 전쟁 · 중동 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며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글로벌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수출 증가 폭 축소 가능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원화환율 불안정’(39.8%→42.0%) 응답이 전기 대비 2.2%p 상승하며 최대 비중 차지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32.7%→35.6%) 응답률도 전기보다 2.9%p 증가하며 두 번째로 많이 응답, ‘원재료 가격 상승’(39.8%→29.4%)은 전기보다 응답률이 감소했으나 4번째로 많이 응답 


 

저작권자 © 해사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