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사기구는 지난 2016년 10월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제70차 해양환경위원회(MEPC)에서 오는 2020년 1월 1일부터 글로벌 차원에서 대양을 항해하는 모든 선박들을 대상으로 선박연료에 허용되는 황 함유량을 기존의 3.5%에서 0.5%로 대폭 축소하는 황산화물 규제를 시행하기로 최종 확정하였다.

이는 해운 역사상 가장 강력한 환경 규제로, 국내외 해운선사들은 최적의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현재까지도 다방면으로 대안을 검토 중에 있다.

본 연구는 IMO 배출규제 강화에 대한 국내외 대응동향을 정리하고 대응방안별 장단점 분석,국내외 주요 선사 등의 규제 대응 실태 파악을 통해 IMO 배출규제 강화에 대비한 국내 해운산업의 대응전략을 수립하였다.

황산화물 배출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은 저유황유 사용 방안, 탈황장치인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방안, LNG연료 선박을 도입하는 방법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 비용투자가 없는 저유황유를 쓰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저유황유는 기존의 고유황유보다 가격이 비싸고 환경규제가 시작되는 2020년 이후 저유황유 사용이 집중되면 유가가 더욱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유황유를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초기 투자비
가 소요되고 설치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 LNG연료 선박은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선박을 신규로 건조해야하기 때문에 신조에 따른 대규모의 초기 투자비가 요구된다.

이 외에 LNG 충전설비 부족으로 인한 인프라 미비, LNG 가격전망의 불확실성, 메탄가스 배출 문제 등도 존재한다.

이처럼 저유황유 사용, 스크러버 설치, LNG연료 선박 건조 등 세 가지 대응방안들은 방안별로 장·단점이 뚜렷해 어느 것 하나를 정답으로 간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선박 운항환경, 선사 재무환경, 선박의 특성 등 각 해운선사의 특징에 따라 운항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배출 규제가 시행된 이후 저유황유, LNG 등 대체연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2018년 10월에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황산화물 규제 대응현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해운업계의 약 70%가 저유황유를 선택하겠다고 응답했다.

이처럼 비중이 높은 저유황유의 선택은 자칫 저유황유 가격이 급등할 경우 국적선사 전반에 걸쳐 경영환경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국내 해운업계의 대응방향에 대한 사전 검토 및 대비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IMO 배출규제 강화에 대비해 국내 해운산업의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일은 정부 차원에서도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이를 통해 국적선사들의 국제경쟁력 유지 및 해운산업의 지속가능한 해운산업의 성장 동력원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작권자 © 해사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