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정부가 2,000억 달러(약 220조 원) 어치의 중국 제품에 부과하는 제재 관세를 현재의 10%에서 25%로 올리면서 해운업계에 악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시아와 미국을 잇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서는 중국발 점유율이 60% 이상을 점유하여 관세 인상의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건화물 운반선 등 부정기 용선시장에서도 미중 무역전쟁의 격화로 세계경제의 경기둔화에 따른 시황 악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아시아발 미국 수출용 컨테이너 항로(북미 동항)에서는 최근 베트남발 등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래도 중국발은 여전히 60%를 상회하면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나타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인상은 그동안 해운 시황에 예상보다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오히려 미중 무역 전쟁에 대비한 선제적 출하가 발생하면서 2018년 북미 동항 컨테이너 화물량은 과거 최다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9년 연초에도 그 흐름은 바뀌지 않았는데 올해 3월 북미 동항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약 1% 늘어난 122만 TEU를 기록했으며, 이는 동월 실적으로 역대 최대 물동량을 기록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미국의 관세 10%를 화주가 일부 부담하면서 극복해왔는데 25%로 인상될 경우 이것은 선사가 화주와 함께 부담할지라도 무리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베트남 등 중국 이외의 화물량 증가가 예상되지만 기존의 북미 트레이드 전체를 보완하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는 물동량 둔화로 인한 시황 악화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한편 부정기 용선시장 관련해서는 관세 부과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보다 미중 간 무역협상의 고착 상태에 따른 경기악화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무역협상이 고착 상태에 빠지면서 중국의 체감경기가 악화되면 철광석과 원유 수요의 감퇴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건화물 수요의 감소는 드라이 벌크선이나 유조선 시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다행이 이번 미국의 대중 관세 추가 파장에 대해 드라이선과 유조선 관계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다만 협상이 계속적으로 지연될 경우 세계경제나 trade에 미치는 영향은 헤아릴 수 없다고 부정기 선사 관계자들은 염려하고 있다.

미중 무역마찰을 둘러싸고 양국의 경기후퇴가 우려되었지만 그동안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그런데 무역협상이 불확실해지면서 해운으로 미치는 마이너스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 © 해사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